a charset="UTF-8"> '주역(周易)' 태그의 글 목록
본문 바로가기

주역(周易)2

[38] 위편삼절(韋編三絶)과 과골삼천(踝骨三穿) 책을 많이 읽거나, 열심히 공부하거나, 학문연구에 피나는 노력을 다함을 "위편삼절"(韋編三絶)이란 말을 빌어 비유한다. "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."는 뜻이다. 이 유명한 말은 모두 10권으로 된 ≪공자가어≫(孔子家語)라는 책에 실려 있다. 뒤에 위나라의 왕숙(王肅)이 위조한 것으로 밝혀졌지만, 공자(孔子)에 관한 일화 중에서 ≪논어≫에는 빠져 볼 수 없는 것들을 모아 만든 고서여서 가치가 높다고 한다. ≪공자가어≫에 실려 있는 내용은 이렇다. 공자가 만년(晩年)에 역(易)을 좋아하여, 책을 맨 가죽끈[韋(위)]이 세 번 끊어졌다. [孔子晩而喜易(공자만이희역), 韋編三絶(위편삼절).] 한(漢)나라 때 태사공(太史公) 사마천 (司馬遷)이 지은 ≪사기≫(史記)에도 이 말이 나온다. ≪공자세가≫(.. 2023. 12. 9.
[34] 천화동인과 화천대유, 그리고 대장동 지금 재판이 진행되고 있는 사건이 있다. 지금은 사그라든 것처럼 보이지만, 한 때 이 땅의 뉴스를 모두 빨아들이던 사건이다. 그 사건은 이른 바 "대장동사건"이다. 성남시 대장동 개발과 관련하여 일부의 사람들이 부당한 이득을 취하고, 그 과정에서 특혜와 뇌물이 오고갔다는 그 사건 말이다. 이때 "천화동인"과 "화천대유"라는 회사 이름을 보고들었을 것이다. 이런 회사 이름은 특이하고 낯선 것이었다. 그리고 김**란 사람이 기자들 앞에서 말할 때, 그 뒤에 작대기처럼 그어진 회사 심볼을 보았을 것이다. "천화동인"과 "화천대유"란 말은 ≪주역≫(周易)에 나오는 괘(卦)다. 64개 괘(卦) 중의 둘이다. "천화동인"과 "화천대유" 는 각각 천화와 동인, 화천과 대유로 나누어진다. "천화"(天火)과 "화천"(火.. 2023. 11. 22.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