들안길과 SE&SS: 공생애(公生涯)11 [3] 4K님과의 만남: 1. 심재선생전 대학과 대학원을 다닐 때의 '참된 만남'(encounter)으로 여태까지 내가 존경하고 내게 가르침을 주시는 '영원한 은사님'(eternal teacher)이 네 분이다. 네 분 모두 성씨가 김(Kim)씨다. 그래서 4K 교수님이라 한다. 이 글에서 4K 교수님에 대해 간략히 적고 나의 경험담을 적으려 한다. 내가 쓴 글이 혹여라도 은사님들에게 누를 끼치게 될 것을 이미 염려하여 아호(雅號)와 영문 이니셜로 지칭한다. 이 네 분과의 '단순 만남'(meeting)은 이렇다. 심재(心齎) KJK교수님은 철없던 시절 대학 1학년 때, 유일한 전공과목이었던 "특수교육개론" 수업에서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. 평촌(坪村) KBH교수님은 2학년 때 수강한 교직과목 중 하나였던 "교육철학및교육사" 수업을 들으며 뵈었다... 2023. 11. 14. [2] 특수교육은 학문인가 "특수교육은 학문인가." 지금 이런 '도발적'인 질문을 나 자신에게 던진다. '사연'없는 무덤이 없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, 매사 그 나름의 사연이 있기 마련이다. 까닭도 있고, 목적도 있고, 계기도 있다. 지금 "특수교육은 학문인가"라고 자문(自問)하는 것 또한 나름의 까닭이 있고, 목적하는 바도 있고, 계기도 있다. 곧 나로 하여금 이런 물음을 품게 만든 그 무엇이 있다는 말이다. 또, 이 그 물음을 이렇게 글로 적는 행동을 하게끔 만든 그 무엇이 있다는 것이다. 이렇게 스스로 묻고 스스로 답을 찾기 위한 행동에 나서게 만드는 힘을 동기(動機 motive)라고 한다. 동기를 흔히 자동차의 엔진(engine)과 운전대(steering wheel)에 비유한다. 엔진은 자동차가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, 곧 동.. 2023. 11. 9. [1] 학습장애인의 수적 차이, 한미(韓美) 간에 왜 이리 큰가 1. 학습장애란 무엇인가 학습장애(learning disabilities)라는 장애가 있다. 아마 처음 들어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, 이것이 무엇을 말하는지 잘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. 그저 공부 못하는 것이란 뜻으로 알고 있을지도 모르겠다. 그도 그걸 것이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에는 존재하지 않는 장애이기 때문일 것이다. 특수교육법에만 있다. 이 말과 비슷한 말이 많은 것도 혼란을 부채질한다. 학습'부진'이나 학'업'부진, 학습'지진' 같은 말이 더 흔히 쓰이고, 이 말들이 뜻하는 바가 또래들보다 학업성적이 낮음을 말하기 때문일 것이다. 학업부진은 underachievement, 학습지진은 slow learning이다. 아무튼 학습장애가 있는 아이들이 학업성취가 낮은 아이들이라는 것은 옳은 말이다. .. 2023. 11. 7. 이전 1 2 3 다음